--- 디지털 인쇄로 책을...

     ---리룩스서버컴퓨터 백업

  공개 자료실 

 文學위의 文學 출판사입니다. PDF로 전환하여 복사기로 책을 만듭니다.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인쇄'에서 확인해 보세요!

새로운 리눅스 서버... 일기 (日記)

하지만 기계 제작 일이 계속 주문이 들어와서 밀려 있는 상황. 조금 더 야간 잔업을 진중하게 집중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 그렇지만 겨울철이다보니 너무 추워서 또한 야간 작업이 힘들었지만 이제 봄부터는 더 집중할 필요가 있었다. 계속된 기계 주문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을 더 많은 시간을 기계작업시간으로 충당하여야만 한다는 점이었다.

비염 2016. 12. 20

2016.12.22 19:37

文學 조회 수:106

1. 월요일부터 날씨가 포근해지면서 무척 코(감기로 인해 콧물이 나오고 코가 막히는 증상)가 좋아졌다. 그동안 아내는 코골이가 심해서 옆에서 잘 수 없을 지경이었다.

 사실 코가 막히는 현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었다. 올 겨울내내 약간의 추위가 다가오던 11월 경에는  계속하여 알레르기 반응으로 코 속이 붓고 뻑뻑했었다. 그리고 극도로 어지럼증과 함께 예의 증상으로 시달리게 되었는데 김천에 출장을 갔을 때 너무도 힘들어서 식당에 앉아 있지를 못할 지경이었다. 그 고비를 나는 비염으로 기술한바 있다. 


2.  며칠 전부터 독감으로 인하여 그ㄲ가 붓힐 때 유독 코골이가 심했었는데 독감으로 인해서 그 증상이 최악적이었고 결국에는 코를 골면서 무호흡증까지 있었던 모양이다.

  "컥컥컥..."

   거기면서 숨을 못쉬는 무호흡증.

  "컥", 소리를 낸 뒤에 다음 호흡 소리가 날 때까지 아내는 불안하다고 호소한다.

  '그 다음에 숨을 쉬지 않는 건 아닐까?'

  그런 걱정감.

  사실상 코골이로 옆에 함께 잠을 자는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게 되지만 정작 자신은 그런 건 알지 못한다. 하지만 아침에 코를 심하게 곤 날은 목구멍이 까칠거렸다.

  중요한 것은 무호흡증이라고 했다. 그로인해서 뇌로 가는 산소가 부족해지면 여러가지 뇌경색 증상이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내용을 TV 에서 시청한 적이 있었다. 그만큼 무호흡증을 방치하면 안 된다는 내용의 전문가 소견들. 그렇지만 지금으로서는 수술하면 나을 것이라는 사실에 그다지 무반응일 수 밖에 없었다. 독감으로 인해서 코막힘이 심해지면 유독 더했었고...


 3. 지금은 날씨가 풀리면서 그런 염려가 사라졌다. 정말 다행이다. 잠시뿐이겠지만...

  겨울은 충농증으로 늘상 코가 막히고 농액이 목을 타고 넘어와서 가래가 되는 사람들에게는 그다지 환영을 받지 못한다.

  코막힘은 커다란 장애와 같았으니까?

  이번 독감으로 인하여 나는 죽다가 살아난 것처럼 온몸이 풀려 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글 쓰는 시간을 절약 하는 방법 文學 2023.05.13 2489 0
공지 2017년 맥에 윈도우10을 설치한다. (나의 맹세) 文學 2021.03.16 3262 0
공지 파라다이스 탁구 [1] 文學 2021.01.30 3177 0
공지 새해결심 文學 2019.01.03 3340 0
공지 2019년 1월 1일 文學 2019.01.02 3407 0
공지 입출금 내역과 할 일. 文學 2016.12.07 0 0
공지 글 쓰는 방법을 다르게 한다. 文學 2015.06.02 4745 0
공지 새로운 방식 文學 2014.01.14 13255 0
공지 책 출간에 대한 계획 文學 2013.04.19 29931 0
공지 서울 출장 (134) [1] 文學 2013.01.23 28576 0
공지 생각 모음 (140) [1] 文學 2013.01.15 31374 0
3205 삶의 지표 file 文學 2019.05.29 92 0
3204 돈, 돈, 돈...오...온! 文學 2019.07.30 92 0
3203 추석이 가까와 진 것이 실감이 난다. [1] 文學 2019.09.10 92 0
3202 탁구의 기본기 文學 2019.10.13 92 0
3201 실수 연발에 대한 깨달음 (2) 文學 2019.11.21 92 0
3200 과로와 휴식 ( 생각 모음 ) [1] 文學 2019.12.09 92 0
3199 딸과 아들의 결혼에 즈음하여... 文學 2019.12.30 92 0
3198 상중과 어머니의 초상에 대하여... file 文學 2020.03.26 92 0
3197 체육지도자 필기 시험 잠정 연기 (국민 체육 진흥 공단 제공) 文學 2020.04.08 92 0
3196 NC 카팅기계 전체 도면 [2] 文學 2020.05.20 92 0
3195 아들의 결혼식에 즈음하여... 2020.10.16 文學 2021.01.15 92 0
3194 성공과 실패의 뒤안길에서... (4) 2020.12.11 文學 2021.01.19 92 0
3193 미지의 개척지 2021.1.6 文學 2021.01.20 92 0
3192 빠른 편집 작업을 위해서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 [1] 文學 2021.02.10 92 0
3191 설날 풍속도 (2) *** 文學 2021.02.13 92 0
3190 알람 소리 (3) 文學 2021.02.24 92 0
3189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16) *** 文學 2022.05.18 92 0
3188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18) 文學 2022.05.21 92 0
3187 우연을 가장한 모순의 세계 (2) 8/21 文學 2022.09.20 92 0
3186 탁구를 치러 가서 쓸데 없는 논쟁에 시달리다. 文學 2022.10.08 92 0
3185 작업 방법 (37) *** 文學 2022.12.28 92 0
3184 <국제커플> 외국 미인 여자 친구가 생기면 좋은 이유 (튀르키예 여자친구) *** 文學 2023.06.07 92 0
3183 부도 이후... 文學 2015.04.10 93 0
3182 달밤의 체조 文學 2015.07.10 93 0
3181 대립 (2) 文學 2016.08.20 93 0
3180 독감에 시달리면서 (12월 18일 일요일) 文學 2016.12.18 93 0
3179 아르바이트를 하는 아들을 보면서... (2016. 12. 23. 금) 文學 2016.12.27 93 0
3178 취침과 아침 기상의 연관성에 대한 해석 2017.04.25 文學 2017.05.08 93 0
3177 어제는 군서의 산밭에 들깨를 심었다. (2) 상단부분 file 文學 2017.05.28 93 0
3176 노력과 게으름의 차이 文學 2017.11.21 93 0
3175 이팝나무에 대한 견해 2018.5.3 文學 2018.05.04 93 0
3174 '어머니의 초상'에 대한 수정 작업 (2) 文學 2018.12.14 93 0
3173 다시 시작된 편집 작업.. (2) 文學 2018.12.28 93 0
3172 새해 벽두에 갖게 되는 변화 文學 2019.01.04 93 0
3171 사람과 사람의 만남에 대한 고찰 [1] 文學 2019.01.16 93 0
3170 사회생활의 어려움에 대하여...(위기의 분류) 文學 2019.03.06 93 0
3169 희망의 메시지 文學 2019.05.03 93 0
3168 어제 하루는 밭에서 보내었는데... file 文學 2019.07.09 93 0
3167 19인치 구형 모니터의 재사용 文學 2019.08.02 93 0
3166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文學 2019.08.29 93 0
3165 슬픔처럼 비가 내리면... 2019.09.22 09:49 file 文學 2019.09.23 93 0
3164 과로와 휴식 (2) ( 생각 모음 ) 文學 2019.12.10 93 0
3163 불신 文學 2019.12.14 93 0
3162 4k 모니터 (7) file 文學 2020.02.07 93 0
3161 출장을 나가는 날의 분주함에 대하여... [1] secret 文學 2020.08.06 93 0
3160 지하실의 탁구기계 (3) 2020.10.04 文學 2021.01.15 93 0
3159 미지의 개척지 (7) 2021.1.11 文學 2021.01.20 93 0
3158 잠깐의 여유 文學 2021.07.18 93 0
3157 창과 방패 (아이나비 네비케이션의 구입) 2 *** 文學 2021.08.07 93 0
3156 2차, 아트라스제네카 코로나 접종을 맞는다. (2) [1] 文學 2021.08.27 93 0
내가 글을 쓰고 이곳에 옮겨 적는 것은 자료를 보관하기 위해서였다. 이것이 책으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시간과 숙성을 거쳐야만 하는 데 그 진가가 발휘되기 위해서 필요한 자료로 첨부될 내용이라고 할까? 그렇다면 이 모든 내용이 언제 어느 때 충분한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까? 그것은 문학적인 고취하 충분히 무르익어야만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