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인쇄로 책을...

     ---리룩스서버컴퓨터 백업

  공개 자료실 

 文學위의 文學 출판사입니다. PDF로 전환하여 복사기로 책을 만듭니다.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인쇄'에서 확인해 보세요!

새로운 리눅스 서버... 일기 (日記)

하지만 기계 제작 일이 계속 주문이 들어와서 밀려 있는 상황. 조금 더 야간 잔업을 진중하게 집중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 그렇지만 겨울철이다보니 너무 추워서 또한 야간 작업이 힘들었지만 이제 봄부터는 더 집중할 필요가 있었다. 계속된 기계 주문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을 더 많은 시간을 기계작업시간으로 충당하여야만 한다는 점이었다.

화목 보일러

2016.03.23 00:07

文學 조회 수:301

sample11.JPG


  옛날 옛날 아주 옛날 호랑이가 담배 피우던 시절의 얘기입니다.

  제가 어렷을 때부터 외갓집에서 자랐고 컷기 때문에 외가에 자주 찾아 가곤 했습니다. 특히 학창시절 겨울방학 중에는 의례히 찾아가서 일손을 도왔는데 그건 다름 아닌 나무를 하는 일이었지요! 겨울 내내 아궁이에 들어가는 장작만해도 설찮아서 나무광과 뒤켯에 쌓아 놓은 나무더미들이  지금쯤 되면 모두 동이나서 나무를 해와야만 했습니다.
 
  그럴 때마다 나는 할머니와 함께 가마니를 지게에 지고 산길을 오릅니다. 그리곤 골짜기에서 참나무 잎을 긁어 모아 가마니에 담고 아래로 굴려 내린 뒤에 다시 지게로 메고 오는 게 일상적인 일이었지요. 딸 셋에 아들 넷을 둔 외할머니는 할량한 외할아버지와 게으른 외삼춘들의 놀기 좋아하는 성격을 잘 알기에 직접 나무를 하러 다니곤 했었는데 그 때 단골 메뉴가 가랑잎이었습니다. 이때의 할머니는 기차 화통을 쌂아 먹은 것처럼 크고 우렁찼습니다.
  "완아, 얼른 가서 나무를 해오자!"
  "완아! 완아! 내 손자 완아!"
  그렇게 손자를 부르는 소리가 산을 쩌렁쩌렁 울리곤 했었답니다.

  엄청난 양의 나무를 집어 먹는 나무하마.
  아궁이는 시커먼 입을 벌리고 개처럼 입을 벌리고 침을 질질 흘렸습니다. 밥이 익어서 다닥거리는 소리를 낼 때의 자잘거리는 침...
  새벽녁에 어슴프게 어둠이 겉히기 전에 아궁이에는 소죽을 끓이기 위해 불이 짚혀 집니다.
  그리고 다른 아궁이에 뜨거운 물을 끓여 두워야 했고...
  나무가 없을 때는 웽겨가 등장합니다. 풍로를 길게 파으프에 연결하여 아궁이 속에 밀어 넣고 그 위에 웽겨를 뿌려대면서 손으로 풍로를 돌리면 검은 재 속에서 빨갛게 불이 피어오릅니다. 전기도 없어서 물레 방아간에서 동네로 보내는 희미한 백열전구 빛이 가물가물 하던 시대였습니다. 비가오고 태풍이 부는 날이면 그 불빛도 끊어져서 전기선을 잇으러 다니는 동네 사람들이 밖으로 나가곤 했던 모습.

  그 나무를 이제는 내 집에서 하고 있습니다.
  나무 빠래트를 잘라서 쌓아 놓고 건축 자재에서 폐기물로 버린 슬러지와 농짝 부숴진 것까지 총 막라하여 전기톱으로 잘라 댑니다.
  화목 보일러에 넣는 나무를 아궁이에 맞게 잘라 줘야만 했습니다.
 
  몇 년 전에는 전기톱질을 잘못하여 얼굴에 코부터 오른쪽 볼을 모두 찢겨서 119 구급차량을 타고 충대 병원 중환자 실에서 4시간이 넘는 수술까지도 한 적이 있을 정도로 위험한 전기톱질을 놓지 못하는 건 알량한 연료비를 아끼기 위해서였지요.
 
  그런 위험을 무릅쓰고 오늘도 전기톱으로 나무를 수도 없이 잘랐습니다. 그 옛날 외할머니와 나무를 하러 산으로 오르던 어린 소년의 모습이 이제 나이든 중년의 몸이 되어 나무를 베고 있습니다.
  내 몸 속에 외할머니로부터 배운 경험이 토대가 되어 그대로 답습되는 중이었지요.
 
  하지만 내년부터는 한 달에 42만원(한 드럼에 13만원 3드럼이 들어감)의 기름값이 들어갑니다. 새로 구입한 2층짜리 주택은 지금 살고 있는 집의 두 배나 더 컸으며 그곳에서는 화목보일러를 설치하지 못하였지요.
  지금도 잠은 그곳에서 자고 출근하여 기계를 만드는 공장인 이곳에서 화목보일러에 낮에만 나무를 넣고 지내는데도 그렇게 많이 듭니다.
  이런 생활을 그동안 5년이 넘게 해왔다는 사실이 믿을 수가 없네요.
  아마도 나무를 해오고 토막토막 자르는 일이 그만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비법이라고 생각은 듭니다만 다시금 추억으로 남지는 않을지 모르겠습니다.

  따뜻한 봄 날이 가까워진 오늘도 몇 차례 나무를 자르면서 엄청난 무게를 견뎌냈을 외할머니의 모습을 그려봅니다.
  저의 글 중에 외가집의 얘기가 유독 많습니다. 그 때의 저는 어린 모습입니다. 아마도 그 어린 기억 그곳이 내게 고향같다고 생각이 들어서겠지요. 고생스러운 기억이 어떻게 추억으로 남을 수 있는지요. 너무도 깊고 깊었던 내 몸 속의 비밀을 캐어 내보면서 엄청난 사실을 되새겨 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글 쓰는 시간을 절약 하는 방법 文學 2023.05.13 2348 0
공지 2017년 맥에 윈도우10을 설치한다. (나의 맹세) 文學 2021.03.16 3153 0
공지 파라다이스 탁구 [1] 文學 2021.01.30 3048 0
공지 새해결심 文學 2019.01.03 3202 0
공지 2019년 1월 1일 文學 2019.01.02 3262 0
공지 입출금 내역과 할 일. 文學 2016.12.07 0 0
공지 글 쓰는 방법을 다르게 한다. 文學 2015.06.02 4638 0
공지 새로운 방식 文學 2014.01.14 13122 0
공지 책 출간에 대한 계획 文學 2013.04.19 29804 0
공지 서울 출장 (134) [1] 文學 2013.01.23 28447 0
공지 생각 모음 (140) [1] 文學 2013.01.15 31231 0
5236 자동차 검사 [3] 文學 2023.07.08 19 0
5235 서울 출장 (205) 文學 2023.09.07 19 0
5234 생각이 우선일까? 행동이 우선일까? 文學 2023.11.05 19 0
5233 관절염이 사라졌다. *** 文學 2023.11.06 19 0
5232 내일은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중고 기계를 수리하여 납품한다. (6) 文學 2024.01.18 19 0
5231 최선책이 무엇인가 하는 논의 文學 2024.01.20 19 0
5230 현실과 비현실의 차이 (6) 文學 2024.02.27 19 0
5229 손녀 딸 Granddaughter *** 文學 2024.03.05 19 0
5228 그리움만 쌓이네. 文學 2024.03.21 19 0
5227 그 겨울의 찻 집 (3) 文學 2024.04.15 19 0
5226 동호회 탁구 (107) secret 文學 2019.02.25 20 0
5225 고독한 글 쓰는 작업 2021.1.16. 06:33 secret 文學 2021.01.17 20 0
5224 목적에 거는 기대 secret 文學 2021.12.07 20 0
5223 다음 출간할 책의 표지 (6) *** secret 文學 2022.01.25 20 0
5222 작업방법 (52) 글을 쓰는 방법론? secret 文學 2023.01.06 20 0
5221 대구 출장 (125) 文學 2023.02.24 20 0
5220 오늘은 탁구장에 가는 날 文學 2023.09.11 20 0
5219 발안 출장 (2) *** 文學 2023.09.20 20 0
5218 겨울의 문턱에서... (2) *** 文學 2023.12.22 20 0
5217 어떤 존재성 文學 2023.12.31 20 0
5216 하는 일에 대한 저항력의 증가 원인 文學 2024.01.03 20 0
5215 의미없는 하루 *** [1] 文學 2024.01.08 20 0
5214 탁구장을 차리기 전, 탁구장을 염두에 두는 이유(2) 文學 2024.01.08 20 0
5213 부산 출장 (103) *** 文學 2023.09.23 21 0
5212 기계 제작 일에 모든 게 달라 지는 이유 secret 文學 2021.06.24 21 0
5211 탁구를 치는 진정한 이유 *** secret 文學 2021.09.28 21 0
5210 작업 방법 (50) 후회 2 文學 2023.01.05 21 0
5209 <윤정희>에 대한 편집 작업 *** [2] 文學 2023.06.28 21 0
5208 편집 작업을 시작하는 과정과 절차 *** [1] 文學 2023.07.03 21 0
5207 휴대폰으로 <날아가는 오리 3>파일을 저장한다. 文學 2023.09.08 21 0
5206 새 해, 새 아침을 갖는 의미 文學 2024.01.01 21 0
5205 글 쓰는 방법 secret 文學 2020.04.28 22 0
5204 안과 밖 2020.11.12 [1] secret 文學 2021.01.18 22 0
5203 글을 쓰는 방법론 적인 동기부여 (10) secret 文學 2022.06.17 22 0
5202 작업방법 (53) 글을 쓰는 방법론? *** secret 文學 2023.01.07 22 0
5201 작업방법 (74) 인생에 대한 견해 7 文學 2023.01.22 22 0
5200 벌에 쏘인 손 등... (2) *** 文學 2023.06.21 22 0
5199 서울 김포 출장 (201) 文學 2023.08.21 22 0
5198 일요일 하루를 보내면서... *** 文學 2023.09.18 22 0
5197 기계의 헤드(Head) 부분의 척(Chuck) 가공 *** 文學 2024.01.05 22 0
5196 오전 내내 글을 쓴 내용 文學 2024.01.19 22 0
5195 최선책에 대한 답 文學 2024.01.21 22 0
5194 동호회 탁구 (109-2) secret 文學 2019.02.28 23 0
5193 쓴 글의 수정 작업 (추석 명절에 즈음하여...) secret 文學 2021.12.10 23 0
5192 기계 수리 (7) 文學 2022.03.05 23 0
5191 나는 누구인가! (24) 文學 2023.03.21 23 0
5190 건강을 가장 우선으로 삼을 수 밖에 없는 이유 (2) 文學 2023.03.01 23 0
5189 나는 누구인가! (27) 文學 2023.03.23 23 0
5188 시간의 관념 *** 文學 2023.06.30 23 0
5187 감자를 캐면서 인생의 고달픔을 느낀다. 文學 2023.07.22 23 0
내가 글을 쓰고 이곳에 옮겨 적는 것은 자료를 보관하기 위해서였다. 이것이 책으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시간과 숙성을 거쳐야만 하는 데 그 진가가 발휘되기 위해서 필요한 자료로 첨부될 내용이라고 할까? 그렇다면 이 모든 내용이 언제 어느 때 충분한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까? 그것은 문학적인 고취하 충분히 무르익어야만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