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인쇄로 책을...

     ---리룩스서버컴퓨터 백업

  공개 자료실 

 文學위의 文學 출판사입니다. PDF로 전환하여 복사기로 책을 만듭니다.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인쇄'에서 확인해 보세요!

새로운 리눅스 서버... 일기 (日記)

하지만 기계 제작 일이 계속 주문이 들어와서 밀려 있는 상황. 조금 더 야간 잔업을 진중하게 집중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 그렇지만 겨울철이다보니 너무 추워서 또한 야간 작업이 힘들었지만 이제 봄부터는 더 집중할 필요가 있었다. 계속된 기계 주문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을 더 많은 시간을 기계작업시간으로 충당하여야만 한다는 점이었다.

이비인후과에서...

2014.09.19 22:54

文學 조회 수:615

  오늘은 아내가 요양원에서 모친을 데리고 나와서 이비인후과에 데리고 갔다 왔다고 했다.

  내가 김포 G.J 라는 곳에 출장을 나갔기 때문에 부득불 그렇게 한 것이지만 사실은 셋이서 오붓하게 치료를 한 뒤에 점심을 먹기로 했었다.

  "어머니를 데리고 나와서 식사는 잘 했어?"

  "콧병은 좀 낫다고 하는데... 점심 식사는 잘하지 못하네요."

  "왜? 멀 먹었는데..."

  "김밥 집에서 돈까스를 시켰는데 절반도 못 먹고... 아무래도 소화를 못 시켜서 양껏 먹지 못하는 게 아닌가 싶어요!"

  "그래... "

  "그런데, 요양병원 간병인이 그러는데... 치매가 온 것이 확실한데... 변비 걱정으로 왔다고 하더군요!"

  "그게 뭔 소리야?"

  "사일 만에 오늘 변을 엄청나게 봤다는데... 그전에는 계속 걱정을하고 집에 있을 때처럼 신경을 쓰길래 간병인이 참으라고 타일렀다고 하네요! 그리고 오늘 마침내 이동용 변기구에 변을 봤다고 하는데... 화장실에서 쓰러질 뻔 하여 큰일날 뻔 하였다는데... 간변인이 화장실에 가지 말고 이동용 변기구에 넣으라고 하였다네요!"

  "집에서도 그 것 때뭔에 무척 고생하였잖아! 그래서 병원에 가겠다고 하신거고... 그런데 지금도 그래!"

  "치매가 변비 걱정으로 왔다고 하면서 간병인이 자신은 많이 봐와서 아는데 틀림없이 그렇다는 거예요."

  "그럴수도 있어?"

  "사람마다 다른다는데 여러가지가 있다는 거예요! 기억력이 왔다갔다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다른 것으로 오는 사람도 많다는 거지요!"

  "..."

  모친에 대하여 집에 두웠을 때 참으로 힘들었던 것을 병원에서는 두 명의 간병인이 열 사람의 환자를 주야로 교대로 보면서 별의별 일을 겪게 되는데,

  '요양원에 근무하는 간병인들은 어쩌면 그렇게 힘든 역활을 담당할 수 있을까?' 할 정도로 놀아웠다.  집에서 모친을 한 달을 모시면서 나와 아내는 모든 게 바뀌어야만 했었다. 심지어 우리들은 어머니 한 사람을 위해 종과 다를바 없었다.

  눈 앞에 있는 모든 것을 갖다 달라고 했고 수시로 똥을 바지에 싸서 놀래키곤 했었다. 그럴 때마다 목욕을 시키고 펜티를 빨았었다. 침대에서 오줌도 쌌던 적이 있었다. 그리고는 갈아 입지도 않고 부직포를 침대 바닥에 깔고 앉아 있었는데 자정이 지난 한참 잠들 시각이었다.

  "엄니 안 주무시고 뭐 해?"

  "내가 부시럭 거리는 모습을 보고 화장실에 가기 위해 일어 났다가 침대에 앉아 있늠 모친을 보면서 물자,

  "속도 모르면 가만히 있어!" 라는게 아닌가!

  "어디 봐!"

  유심히 바라보면서 궁뎅이(엉덩이)에 무언가를 깔고 앉아 있길래 만져 봤더니 축축하였다.

  "이게 뭐야! 오줌을 쌌어?"

  "..."

  "그럼, 옷을 갈아 입워야지! 어이쿠..."

  그렇게 밤 늦은 시각에 난리 법석을 떨면서 목욕을 시키고 옷을 한 벌 갈아 입혔던 적도 있었다. 그 모든 것을 자식이라는 한가지 사실로 이해하려는 내게 요양병원의 간병인들은 놀라운 철인들이었다.

  '어떻게 그많은 환자들을 간병할까? 아무리 돈도 좋다지만 내 부모도 아닌데...'

 

  잠을 자지 않고 돌아 다니는 것도 불면증 때문이었고, 음식을 먹고 소화를 못시킨다고 안마기로,

  "딱딱딱.." 하면서 등을 두두리곤 했었다. 그렇게 똥을 싸고 오줌을 싸는 것도 한 두번이었지 계속하여 반복하게 되면 좋아할 자식들이 한 명이라도 있을지 장담할 수 없었다. 긴병에 이기는 장사 없다고 했던가! 

 

 운운하면서...

이해하는 것도 한 두 번이지...

그렇게 참아야만 하는 것도 자신된 도리 운운하는 것일 뿐이었다.

그런데 어머니는 자기 스스로 요양 병원에 가겠다고 먼저 나섰었다.

참는 것을 하지 못했다.

 조금은 일이 틀어진 사실에 대해서도 이해를 하지 못한다.

가끔씩 가물가물하였다.

그래 자신이 한 말을 다시 반복하여 묻곤 했었다.

아무래도 치매가 온 게 사실이었다.

간병인이 말하는 것처럼 치매여서 배가 아프다고 했고 밥을 먹지 못하며, 소화재와 변비약 등을 계속 먹겠다고 했었던 것이다. (집에 있을 때)

그런데 요양병원에서는 4일 째임에도 불구하고 변비약을 주지 않았고 마침내 오늘 아침에 변을 크게 본 것 같았다.

"얼마나 봤어요?"

  "아주 많이..."

  "그럼, 시원하겠네요!"

  "막혔던 게 확 뚫렸어!"

  "그래, 이번에는 변비약을 먹고 봤어요?"

  "아니..."

  "왜, 안 먹었어요?"

  "병원에서는 안 줘!"

  "왜요?"

  "참고 있다 누라고... 그래서 할 수 없이 참는 거지 뭐! 집에 있을 때도 그랬잖아요. 참으라고 해도 못참고 화장실만 들락날낙 거리고... 그러다가 속병이 드는 것처럼 걱정을 하고..."

  "변비약을 먹었으면 좋겠다고 해도... 안되는 걸 어떻게 참는데까지 참다가 오늘 봤지 뭐야! 그래도 그렇게 참다가 누는게 났지... 변비약을 먹고 보면 배가 살살 아프고 다음에 누울 때는 안 눠져!"

 

  그렇게 아내와 모친간에 대화를 나누웠는데 아무래도 치매가 온 노인네와 하는 대화임에 틀림이 없었다. 

  어린 아이를 구슬러 보지만 듣지 않아서 할 수 없이 변비약을 주웠던 집에서의 행동을 요양병원에서 똑같이 하고 있었을 터였다. 얼마나 지겨운 대화인가! 

 

 

  변을 못보는 것에 안달복달하는 모친을 모습은 치매의 일종이라는 것이었다.  그 걱정으로 정신이 오락가락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구슬러야만 했고 그러다가 할 수 없이 혼을 내 주곤 했는데... 집에서도 그랬었다고 아내가 하자 간병인은 그게 치매가 와서 그렇다는 거였다. 하기야 치매도 여러가지라고 할 수 있겠지만 간병인이 그렇게 말하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을 것도 같았다. 하도 많은 노인들을 상대하는 자신들의 경험에 따르면 결코 과장된 말이 아닐테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글 쓰는 시간을 절약 하는 방법 文學 2023.05.13 2355 0
공지 2017년 맥에 윈도우10을 설치한다. (나의 맹세) 文學 2021.03.16 3157 0
공지 파라다이스 탁구 [1] 文學 2021.01.30 3058 0
공지 새해결심 文學 2019.01.03 3208 0
공지 2019년 1월 1일 文學 2019.01.02 3271 0
공지 입출금 내역과 할 일. 文學 2016.12.07 0 0
공지 글 쓰는 방법을 다르게 한다. 文學 2015.06.02 4655 0
공지 새로운 방식 文學 2014.01.14 13138 0
공지 책 출간에 대한 계획 文學 2013.04.19 29821 0
공지 서울 출장 (134) [1] 文學 2013.01.23 28464 0
공지 생각 모음 (140) [1] 文學 2013.01.15 31248 0
1336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29) secret 文學 2022.06.03 0 0
1335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0) secret 文學 2022.06.03 0 0
1334 서버 홈페이지(munhag.com)가 먹통이 되다. 文學 2022.06.03 30 0
1333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1) secret 文學 2022.06.04 0 0
1332 서버 홈페이지(munhag.com)가 먹통이 되다. (2) *** 文學 2022.06.04 37 0
1331 깊게 잠들지 못하는 밤 잠. 文學 2022.06.04 56 0
1330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2) secret 文學 2022.06.05 0 0
1329 기계 납품 날짜를 맞춰야만 한다는 위기감 文學 2022.06.05 70 0
1328 그와 나의 차이점 (11) 文學 2022.06.05 57 0
1327 그와 나의 차이점 (12) 文學 2022.06.05 78 0
1326 어제 일요일 출근 文學 2022.06.06 93 0
1325 탁구장에 다니면서 바뀐 몸 상태의 변화 文學 2022.06.06 82 0
1324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3) secret 文學 2022.06.06 0 0
1323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4) *** secret 文學 2022.06.06 3 0
1322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5) secret 文學 2022.06.07 0 0
1321 군서 산밭에 감자를 심었는데...*** 文學 2022.06.07 57 0
1320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6) 文學 2022.06.08 104 0
1319 기계 제작이 본업인데... secret 文學 2022.06.08 41 0
1318 기계 제작 일이 본업인데... (2) 文學 2022.06.09 98 0
1317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7) secret 文學 2022.06.09 0 0
1316 다른 일을 시간적인 여유가 없었다. 그렇다고 포기해야만 할까? 文學 2022.06.09 42 0
1315 기계 제작 일이 본업인데... (3) *** 文學 2022.06.10 97 0
1314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8) secret 文學 2022.06.10 0 0
1313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39) secret 文學 2022.06.11 0 0
1312 기계 제작 일이 본업인데... (4) 文學 2022.06.11 42 0
1311 기계 제작 일이 본업인데... (5) secret 文學 2022.06.11 0 0
1310 파리 한 마리 ( 생각 모음 ) 文學 2022.06.11 67 0
1309 탁구를 치게 되는 동호인과의 관계 文學 2022.06.12 84 0
1308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40) secret 文學 2022.06.12 1 0
1307 기계 제작 일이 본업인데... (6) 文學 2022.06.12 61 0
1306 그와 나의 차이점 (13) 文學 2022.06.12 49 0
1305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41) 文學 2022.06.13 152 0
1304 기계 제작 일이 본업인데... (7) 文學 2022.06.13 80 0
1303 파리 한 마리 (2) 文學 2022.06.13 77 0
1302 기계 제작 일이 본업인데... (8) 文學 2022.06.14 47 0
1301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42) secret 文學 2022.06.14 0 0
1300 기계 제작 일이 본업인데... (9) 文學 2022.06.15 114 0
1299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43) secret 文學 2022.06.15 0 0
1298 번개장터에서 <맥북프로 2014> 노트북 컴퓨터를 구매한다. (10) 文學 2022.06.15 99 0
1297 번개장터에서 <맥북프로 2014> 노트북 컴퓨터를 구매한다. (11) *** [1] 文學 2022.06.15 105 0
1296 번개장터에서 <맥북프로 2014> 노트북 컴퓨터를 구매한다. (12) 文學 2022.06.15 56 0
1295 번개장터에서 <맥북프로 2014> 노트북 컴퓨터를 구매한다. (13) *** 文學 2022.06.16 94 0
1294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44) *** secret 文學 2022.06.16 0 0
1293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45) *** 文學 2022.06.16 40 0
1292 글을 쓰는 방법론 적인 동기부여 (10) secret 文學 2022.06.17 22 0
1291 서버 홈페이지(munhag.com)가 먹통이 되다. (3) *** [1] 文學 2022.06.17 31 0
1290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46) secret 文學 2022.06.17 0 0
1289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47) 文學 2022.06.18 69 0
1288 탁구 실력을 높이기 위해서... (방법론 적인 접근) 文學 2022.06.18 60 0
1287 누가 총대를 맬까? 너냐, 아니면 나냐? (48) secret 文學 2022.06.19 0 0
내가 글을 쓰고 이곳에 옮겨 적는 것은 자료를 보관하기 위해서였다. 이것이 책으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시간과 숙성을 거쳐야만 하는 데 그 진가가 발휘되기 위해서 필요한 자료로 첨부될 내용이라고 할까? 그렇다면 이 모든 내용이 언제 어느 때 충분한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까? 그것은 문학적인 고취하 충분히 무르익어야만 가능할 것이다.